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임신·육아정보 게시판입니다.
임신중 하혈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임신중에 질을 통해 피가 나오는 것을 말한다.
고려사항
10% 이상의 산모가 임신중에 질 출혈을 경험하는데, 특히 임신 첫 3개월 중에 많이 나타난다. 하혈은 단태아 보다 쌍태아를 임신 했을 경우 더 많이 나타난다. 유산이나 또 다른 임신중에 생길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흡연을 하지 말고 어떠한 약물도 복용하지 않으며 음주도 피해야 한다.• 균형 잡힌 건강한 식단을 유지한다.• 정기적으로 의료검사를 받는다• 임신 전과 임신 중에 임산부 영양제를 챙겨먹자(혹은 비타민이나 엽산(임신 16주까지)을 복용하자).
원인
임신 첫 3개월 동안에 하는 하혈은 유산이나 자궁 외 임신의 증상일 수도 있기 때문에 병원에 내원해 정확한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임신 4 ~ 9개월 사이에 하는 하혈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 태반 조기 박리• 유산• 전치태반• 전치혈관
임신중 질 하혈의 또 다른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조산(이슬)• 자궁 외 임신• 자궁경관의 감염• 성교로 인한 자궁경관의 외상(소량의 하혈) 질병과 약물로 인해 임신중 하혈을 할 수도 있고 또 산모의 나이에 따라 원인이 달라질 수도 있다.
관리방법
하혈의 원인을 알아낼 때까지 성관계를 피하는 것이 좋다. 만약 유산을 하게 된다면, 그 후로 길게는 10일 동안 소량의 질 하혈을 할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임신중과 유산 2~4주 후 까지는 피를 막기 위해 위생페드를 사용하는 것도 좋다. 하혈에는 주로 약물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는다 – 의사와 상담하기 전에 약물 복용은 삼가자.
전문의를 찾아야 할 시점은?
• 유산의 가능성이 있을 때 • 임신중 질 하혈을 할 때, 응급상황과 같게 취급하자. • 질 하혈을 하며 전치태반이 있을 때(즉시 병원으로 가야 한다)
병원에서 예상할 수 있는 것들
의사가 산모의 병력을 알아보고 신체검사를 할 것이다. 신체검사에는 골반검사도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병원에서 받을 수 있는 검사
• 피검사• 골반의 초음파 검사• 임신 초음파 검사
하혈 치료 방법
• 질이나 자궁경관의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태아에게 안전한 항생제 처방. • 자궁 외 임신으로 인한 하혈을 치료하기 위해 수술이나 의학적 치료를 통해 배아를 제거하고 내출혈을 방지. • 유산의 경우에 감염을 막기 위한 항생제와, 심각한 출혈을 할 경우 수혈을 할 수도 있다. 유산을 완전히 끝마치고 출혈을 멈추기 위해 소파수술이나 약물이 필요할 수도 있다. • 전치태반으로 인한 질 하혈의 경우, 하혈이 멈출 때까지 입원 치료. • 출산 예정일에 가깝거나 하혈이 심각하다면 제왕절개를 하게 된다.
비밀번호 : 비밀댓글
/ byte
비밀번호 :
instagram @ mom_sketch
본 결제 창은 결제완료 후 자동으로 닫히며,결제 진행 중에 본 결제 창을 닫으시면 주문이 되지 않으니 결제 완료 될 때 까지 닫지 마시기 바랍니다.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